상세 컨텐츠

본문 제목

빗나간 비평의 대상

미디어/디지털라이프

by 망명객 2009. 8. 11. 13:55

본문

[강남준의 미디어 비평] 하회마을서 떠오른 미디어법 해법 (20090806, 한국일보)

‘미디어 비평’을 비평한다 (20090810, 미디어오늘)

 

김창룡 교수가 미디어오늘 지면을 빌어 한국일보에 실린 강남준 교수의 미디어 비평을 비판했다. 양쪽 모두 자기 할 말은 다 했다는 양비론적 평가를 내리는 게 속 편한 맺음일 터. 하지만 관련 학문을 공부하고 있는 원딩으로서 난 감히 김 교수의 메타비평(?)은 빗나간 비평이라 평하고자 한다. 원인은 PD 출신 교수와 기자 출신 교수의 '미디어 비평' 글쓰기에 대한 시각 차이일 수도 있다. 하지만 정작 중요한 건 강 교수와 김 교수가 상정한 비평의 대상의 차가 크다는 사실이다.

김 교수는 강 교수의 비평문에 대해 ‘정말 정신이 좀 이상해져 만든 칼럼’이라 혹평했다. 글쎄. 나는 강 교수가 미디어법 파동을 둘러싼 일련의 정치적 대립 과정을 좀 눅여보자는 취지로 글을 쓴 것이라고 본다. 강 교수는 이미 같은 지면에서 미디어 난개발을 비판하는 '디지털미디어 절망가'를 발표했다. 뉴스를 다루는 저널리즘보다 저널리즘을 담는 미디어란 그릇 자체가 강 교수의 관심 영역인 것이다. 혹여나 김 교수가 미디어 자체를 저널리즘과 같은 용어로 보고 있다면 좀 다른 이야기가 될 터이지만 말이다. 그게 저널리즘 비평을 주특기로 삼고 있는 김 교수의 입장에선 비평을 가장한 헛소리일 수도 있다.

이는 굳이 강 교수의 지난 비평문까지 들먹이며 꺼낼 이야기도 아니다. 여야 합의 하에 만들어진 미디어위원회의 파행은 정파적 이해 관계를 굳이 따지지 않더라도 이미 불 보듯 뻔히 예견된 행보였다. 커뮤니케이션 정책 영역이 공익론과 산업론의 일대 격돌장이었던 사실만 복기해봐도 미디어위원회의 파행은 어느 정도 예상할 수 있었던 결론이다. 미디어 기술 발전 국면에서 미디어위원회는 공익론과 산업론이 어떻게 상호 관계를 재설정해야 할 것인지에 대해 진지하게 고민해야 했다. 하지만 현실에서 위원회의 활동은 법 개정이란 결과를 미리 상정해 둔 요식행위에 지나지 않았다. 변화한 매체 환경 속에서 공익론과 산업론의 재설정보다는 미디어 환경 주변을 둘러싼 정치경제적 이해타산의 장이었던 점이 미디어위원회 파행의 진실일 것이다. 바로 이런 현실에 대한 관조가 강 교수 비평문의 요지란 게 내 독해다.

 

미디어 비평은 정보와 오보를 1차적으로 걸러주는 게이트키핑(gatekeeping) 역할이어야 한다는 김 교수의 의견에 난 적극 동의한다. 해당 전문가가 쭉정이와 알맹이를 적절히 골라줘야 한다. 그렇다면 쭉정이와 알맹이를 함께 키워낸 밭에 대한 평가도 미디어 비평의 영역이어야 한다. 강 교수는 공익론보다 산업론의 시각에서 미디어법을 바라보고 있다. 그렇다고 강 교수가 한나라당의 개정안을 적극 지지하고 있는 건 아니다. 양 편이 서로를 향해 날 선 공방을 계속할 때 강 교수는 이 열기를 눅이고 조금 멀리서 미디어판을 바라보자고 비평문에서 주장한 것이다.

 

실명 비판을 가한 김 교수의 의도는 좋았지만 결국 그의 글은 비평 대상인 강 교수의 비평을 심하게 비틀었다는 게 내 최종 결론이다. 강 교수의 비평 코너 지면이 조중동도 아니고 한국일보라는 점도 눈여겨 봐야 하지 않을까.

 

어른들 싸움에 애들은 그저 눈 감고 못들은 척 하는 게 최고라지만 어느 술자리에선가 분명 안주거리로 나올 이야기이기에 개인적인 입장 정리를 해보는 바이다.

 

한 마디 더 사족을 붙이자면, 난 강 교수와 김 교수 두 분 모두 좋아한다. ㅋㅋ 물론 이 모자란 원딩에 대한 가르침은 언제든지 환영한다.   

 

 

 

 

이 글은 스프링노트에서 작성되었습니다.





관련글 더보기